728x90 반응형 경제지표5 환율 안정화 및 증시 훈풍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약 14여년만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돌파했었습니다. 그런데 어제 장중 1400원 아래로 잠시 내려가고 달러 인덱스도 내려가더니, 오늘은 오후 2시 기준으로 1388원까지 내려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 강세에 따라 환율이 급등하자 외환보유고를 상당한 규모로 사용하면서 대응했었는데요, 환율이 올라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외국 자본이 이탈하는 반면, 환율이 내려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외국 자본이 유입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환율 안정세로 외국 자본이 다시 들어오면서 우리나라 증시에 외국인 매수세가 들어오는 모양입니다. 오늘 오후 기준으로 코스피는 반등세를 보여 2400선을 넘보고 있으며, 코스닥도 710대를 회복했습니다. 환율 급등, 무역수지 적자, 인플.. 2022. 11. 8. 미국 금리인상(4연속 자이언트스텝) 미국이 결국 4번 연속으로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을 단행하엿습니다. 11월 FOMC에서 또다시 0.75%P의 금리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미국 기준금리는 3.75%~4.00%가 되었습니다. 4번 연속 0.75%P 금리 인상은 사상 초유의 일로서,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급격한 금리인상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2월에 있을 FOMC에서부터는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것이지 인상을 멈추거나 인하하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으며, 다만 0.75%P가 아닌 0.5%P 정도로 인상 폭을 줄이겠다는 것으로 긴축적 통화정책을 시사하였으며,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종금리는 기존의 .. 2022. 11. 3.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22년 9월 23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9월 21일 미국은 기준금리를 3연속 자이언트스텝(75bp)으로 인상하였고,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3.00~3.25%이 되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진정시킬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는 없다고 발언함에 따라, 파장이 세계 경제에 어마무시하게 미치고 있습니다. [환율] 원달러 1,406.00원(+0.72%) 달러인덱스 111.35(+0.64%) 유럽 EUR 1,384.63원(+0.16%) 일본 JPY 991.71(+2.29%) 중국 CNY 198.75(+0.54%) (9.22 종가기준) [증시] 다우존스 30,076.68(-0.35%) S&P500 3,757.99(-0.84%) 나스닥 11,066.81(-1.37%) (9.22 장마감 기준) 코스피 2,290.00(-.. 2022. 9. 26. 미국 FOMC 예정, 경제지표(22년 9월 20일) [미국 FOMC] 9월 20일부터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가 개최되고, 기준금리 인상 폭이 결정됩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 2.25~2.50% vs 우리나라 기준금리 2.5%) 자이언트스텝으로 0.75%P 올릴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이렇게 되면 미국 기준금리는 3.00~3.25%가 되어 한미 금리역전이 됩니다. 미국 Fed의 6월 점도표는 연말 금리를 3.4% 정도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환율이 1,400원 돌파를 도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미 금리 역전시 환율은 더 치솟을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은행도 큰 폭의 금리인상이 불가피해보입니다. [환율] 원달러 1,394.00원(+0.29%) 달러인덱스 109.74(-0.02%) 유럽 EUR 1,393.23원(+0.33%) 일본 JPY 97.. 2022. 9. 20. 주요 경제정보 및 지표(22년 9월 19일) [미국 FOMC] 9월 20일~21일 미국 연준(Fed)의 FOMC 회의가 내일부터 모레까지 예정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금리 인상 폭이 주요 관심사항입니다. (CME 자이언트스텝 75bp 인상 전망 82.0% vs 울트라스텝 100bp 인상 전망 18.0%) 미국 전월(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8.3% (6월 9.1%, 7월 8.5%, 상승률 둔화 중이나 시장예상보다 상회) 미국 전월(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 8.7% (6월 11.3%, 7월 9.8%, 시장예상 부합) 기대인플레이션률(향후 1년 물가 상승률 예상) 5.75% [환율] 원달러 1,390.00원(-0.64%) 달러인덱스 109.76(+0.02%) 유럽 EUR 1,388.61원.. 2022. 9. 1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